1. 품목분류란 그리고 중요성은?
품목분류란 무엇일까? 품목분류란 HS CODE, 세번부호(HSK), 품목번호, 관세율표 등으로 불리며 세계관세기구(WCO)가 중심이 되어 체결한 HS협약에 따라 상품별로 부여한 숫자 코드를 말한다. 품목분류는 WCO의 HS 협약의 분류원칙에 따라 하나의 품목에는 하나의 HS CODE로 분류되며, 물품의 가공 정도 및 기능에 따라 제1류 산 동물 ~ 제97류 예술품과 골동품까지 분류가 된다.
(출처:https://www.weeklytrade.co.kr/news/view.html?no=3853§ion=1)
품목분류에 따라 결정된 10단위의 HSK는 세율, 수출입요건 등 그리고 FTA에서는 원산지결정기준의 결정 등 품목분류의 중요성은 이루 말할 수 없다.
2. 어디서 확인해야되지?
https://unipass.customs.go.kr/clip/index.do
관세법령정보포털 CLIP
unipass.customs.go.kr
주위에 관세사가 있다면 조언을 받을 수 있겠으나, 내부 리스크 관리 목적이나 관세사를 사용할 자금이 부족하거나 여러 가지 사정에 따라 직접 품목분류를 해야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가능한한 관세사의 도움을 받는게 좋다.
그래도 방법은 알아보자.
(1) 세계 HS 클릭!

(2)-1 속견표에서 물품명 검색

(2)-2 품목분류 국내사례 검색

3. 품목분류 사전심사를 사용하자.
https://www.customs.go.kr/cvnci/cm/cntnts/cntntsView.do?mi=3217&cntntsId=948
관세평가분류원
품목분류 사전심사제도 의의 수출입신고를 하기 전에 수출입자가 스스로 품목을 분류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경우 법령에서 정한 바에 따라 관세청 관세평가분류원장에게 신청하면 법적인 효력
www.customs.go.kr
품목분류 의견서를 작성해서 제출하고, 필요한 경우 수수료가 발생할 수 있다. 유권해석이기 때문에 효과는 확실하나, 원하는 세번이 있다면 의견서를 잘 작성하는게 매우매우 중요해진다.
기간은 약 2달 걸릴 수 있다.
4. 사례는 왜 봐야할까?
사례를 읽고 올리는게 목표이다. 그 이유는 완전히 같은 물품에 대한 사례가 아니더라도 중요한 근거가 되기 때문이다.
실생활에 가까운 물품에 대한 품목분류 사례를 보면, 품목분류에 대한 재미가 늘어나기 떄문이다.
'관세와 무역' 카테고리의 다른 글
[24 세법개정] 관세의 성실신고확인제 신설 (0) | 2024.08.04 |
---|---|
[품목분류사례] 인테리어 및 오염방지를 위한 자동차 바닥 보조매트(3926호) (0) | 2024.07.28 |
[실생활에서 품목분류 찾기] "정새우"의 품목분류세번은??? (0) | 2024.04.05 |
[저작권과 무역] 연예인 사진 굿즈의 저작권 (0) | 2024.03.03 |
[관세와 무역] 실전에 바로 써먹는 재수입면세 (관세법 제 99조) (1) | 2024.02.24 |